맡기다 맞기다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는데, 이 때 어법은 표준어를 어떻게 적을지를 정해 놓은 것으로, 표기와 관련된 원리라 할 수 있습니다.
'맡기다'와 '맞기다'는 둘 다 발음 상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느 것을 쓰든 구어로서는 전·후 맥락을 통해 의미가 전달될지는 몰라도 직접 쓰려고 하면 맞춤법이 헷갈려 머뭇거리는 경우가 많은 표현 중 하나로 꼽힙니다.
맡기다 vs 맞기다
'맡기다'와 '맞기다' 중 올바른 표현은 '맡기다'가 맞으며, '맞기다'라는 표현은 맞춤법에도 어긋날 뿐 아니라 국어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은 표현일 뿐입니다.
'맡기다'는 '맞기다' 외에도 '맏기다' 등으로도 잘못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제대로 잘못된 점을 인지하지 못하면 잘못된 표현을 계속해 사용할 여지 또한 높습니다.
'맡기다'는 의미에 다른 사람에게 어떠한 행동을 하게 시키는 사동사의 의미가 강하며, '맡다'에서 파생된 표현입니다.(발음 : 맏끼다)
뜻은 '어떤 일에 대한 책임을 지고 담당하게 하다' '어떤 물건을 보관하게 하다' '주문 따위를 하다'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매끼다'는 방언에서 '이' 모음 역행 동화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맡기다'를 잘못 쓴 표현으로, 강원, 전라, 경상, 충청 등을 비롯해서 심지어 '제주'까지도 쓰는 사투리의 일종입니다.
역행동화란? 후설모음인 '아, 어, 오, 우, 으' 발음이 뒤 음절의 전설모음 '이'의 영향으로 같은 전설모음인 '애, 에, 외, 위, 이'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표준어 규정에서는 '이'모음 역행동화 현상을 원칙적으로 인정하지 않지만, 우리말에서 '이' 모음 역행동화는 전국적으로 매우 일반화된 현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지랑이'를 '아지랭이'로 읽고 적는 사람이 의외로 많은데, 이는 '이'모음 역행동화 때문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