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이나는클라스 과학상식

많은 비행기가 흰색인 이유, 과학적인 이유가 있다!!

비행기가 흰색인 이유

 

모든 비행기가 외형이 흰색인 것은 아니지만, 과거부터 현재까지 운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비행기는 일반적으로 흰색으로 도색 되어져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행기가 흰색인 이유는 항공사에 따라 이유가 다양할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접근하면 비행기의 외형을 흰색으로 할 때 운항상에 더 이득이 있기 때문입니다.

 

 

비행기 외형을 흰색으로 하는 이유

 

▣ 열 보존율

 

비행기가 흰색인 이유 중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는 열 보존율에 있습니다.

 

비행기는 이륙과 착륙, 높은 고도를 비행할 때 온도가 높아질 수 있는데, 흰색 등 밝은 컬러는 빛과 열의 흡수를 최소화 하고 기체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는 실생활에서도 쉽게 체감할 수 있는 부분으로, 여름에 검은색 티셔츠보다 흰색 티셔츠를 입었을 때 체온이 더 낮아지는 것과 같은 이치이며, 검은색 차량 보다 흰색 차량이 빛을 반사하는 효과가 커 여름에 내부 차 안 온도가 더 낮습니다.

 


 

비행기가 안전하게 비행하려면 기체 구조가 가벼우면서도 튼튼해야 하는데, 비행기에 사용되는 재료는 강성(물체에 외부에서 힘을 가하면 그 힘에 저항하는 정도)이 커야 하고, 탄성(외부에서 가해진 힘에 의해 변형된 물체가 힘이 사라졌을 때 원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이 있어야 합니다.

 

게다가 주위 온도에 성질이 변하지 않아야 하고, 피로 파괴(물체에 힘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면 시간이 경과한 후에 그 물체가 파괴되는 현상) 등에 강해야 하는 등 복잡한 시험을 통과해야 하는데, 흰색이 열보존율을 낮춰 재료들의 특성을 극대화 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경제적인 이유

 

세계에서 운항중인 비행기가 대부분 흰색이 많은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도 큰 부분을 차지합니다.

 

비행기는 크기가 크기 때문에 흰색이 아닌 다른 색으로 도색하기 위해서는 많은 페인트가 소모되는데, 보통 240kg 이상의 페인트가 소모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흰색은 페인트 중에서 기본 색상으로 가장 저렴할 뿐 아니라 유지 비용도 가장 저렴합니다.

 

비행기를 운항하다 보면 페인트가 벗겨지고 색이 바래기 마련인데,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페인트칠이 필요하합니다. 흰색이 아닌 다른 색은 더 많은 페인트 칠이 필요하고 페인트 비용이나 인건비 등도 비용이 더 들어가게 됩니다.

 

 

또한 흰색 비행기는 나중에 팔 때도 보다 많은 값어치를 가집니다. 보통 흰색 비행기보다 다른 색으로 칠해진 비행기는 그 가치가 낮게 책정됩니다.

 

색을 칠한 항공기를 살 경우 다른 색으로 도색하기 힘들 뿐만 아니라 유지 비용도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 안전상의 이유

 

비행기가 유색 보다 흰색이면 연료가 유출되거나 부식이 발생했을 때 빨리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찌그러짐 등으로 인해 기체 외벽에 문제가 생겼을 때에도 더 쉽게 발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비행기는 높은 고도와 빠른 속도로 운항되기 때문에 기체에 조그만한 결함이라도 대참사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또한 짙은 색으로 칠하는 것이 큰 문제를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짙은 색의 페인트가 햇빛에 노출됐을 때 더 빨리 산화되어 부식에 더 취약해 질 수 있습니다.

 

부식은 날개 표면을 거칠게 해 공기 흐름을 매끄럽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에 양력의 크기를 줄이고 비행기의 효율도 낮춥니다.

 

비행기의 세척과 부식 처리는 비행기 유지보수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작업 중 하나이지만, 항공기 수명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중요 작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항공기의 수명은 기체 골격구조의 수명과 일치하기 때문에 오염되거나 부식 되지 않는 최적의 상태로 항상 유지되어야 하며, 이는 안전과 직결됩니다.

 

 


댓글